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학교.유학 : 21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파리국립고등음악원

● 프랑스의 음악학교 체계 프랑스는 음악원(conservatoire)이 발달된 나라이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음대와는 다르게 영재교육과 음악의 전문적인 교육을 위해 각 구(區, municipal) 그리고 시립(region), 국립(national), 그리고 국립고등(national superieur)으로 구분되게 학교를 구성했다. 특히 국립고등은 프랑스에서 명문으로 통하는 그랑제꼴(grands ecoles)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문학교가 더 발달된 프랑스에서 음악을 포함한 다른 전공분야에서도 국립고등학교(national superieur)를 최고의 명문으로 친다. 여기에 국립고등음악원은 파리와 리용에 각각 하나씩, 단 두 개만이 있다. 이밖에 국가의 운영이 아닌 개인의 운영으로 만들어진 학교가 에꼴 노르말(ecole normal), 국가가 운영하는 파리 외각의 음악학교 ENM(ecole national musique) 등이 있는데 이곳 또한 많은 학생들이 다닌다. 그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음대는 소르본느, 파리8대학 등인데 이들 학교에서는 이론 분야만을 주로 다루고 있다.
● 파리국립고등음악원
프랑스에서는 C. N. S. M.으로 불리는 이 학교는 210년의 전통을 자랑하며 유럽 콘서바토리의 원조라 불릴 만큼 명문으로, 국가가 운영하는 구립이나 시립음악원은 마치 이곳 국립 고등음악원을 들어가기 위한 예비학교처럼 운영될 정도다. 이 음악원 출신으로는 역대 교장을 역임하기도 한 가브리엘 포레, 라벨, 졸리베, 메시앙, 자끄 티보, 피에르 푸르니에, 삼손 프랑수아, 지네 느브, 앙드에 나바라, 폴 토르틀리에, 제라르 수제, 장-피에르 랑팔 등 수많은 전설적인 연주자와 작곡자들이 배출됐으며, 한국인 가운데에는 양성식, 피호영, 박민종, 송영지, 지진경, 양성원, 윤혜리, 강혜선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
1795년 파리 Hotel des Menus Plaisirs에서 시작된 파리국립 고등음악원은 포레가 교장으로 재직하던 1911년부터 중심가인 8구 유럽 타운(지금도 이곳은 음악의 타운으로 많은 악기점, 악보 가게가 있다)의 마드리드가(街)로 이주했으며 200주년 기념과 함께 지금의 파리 19구 빌리에뜨의 현대식 건물로 위치를 바꿨다. 또한 200주년을 기리기 위해 시테 드 라 뮤지크(cite de la musique) 음악회 홀을 개장하였는데, 현대음악 전문 오케스트라인 앵떼르 꽁테포랑을 지휘하고 있는 피에르 불레즈(Pierre Boulez)가 이 곳의 총감독을 맡고 있다.
● 학교 운영 시스템 이 학교에는 크게 정규 과정(cycle normal)과 연주자 과정(troisieme cycle), 두 과정이 준비되어 있다. 우선 정규과정은 음대로 따지면 학부와 같은 곳으로 수업은 현악기에 관해서는 전공분야, 실내악, 음악이론, 시창·청음, 초견, 오케스트라, 교양과목을 필수로 들어야 한다. 또한 이학교는 바카로레아나 다른 학교 디플롬으로 편입이나 입학혜택이 없다.
재학할 수 있는 기간은 3∼4년으로 졸업시험은 3학년 혹은 4학년 때 본인이 선택할 수 있으며 기회는 단 한 번뿐이다. 연주자 과정은 대학원 같은 곳으로 입학시험을 볼 수 있는 제한이 있다. 본교 출신 중 1등급(mention tres bien)을 받은 학생이거나 다른 유명 음대 출신이거나 국제 콩쿠르 입상 경력자로 서류심사를 통과한 자만이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며, 수업은 전공분야만 하고 기간은 2년이다. 워낙 까다로운 입학시험 때문인지 졸업 시험은 없고 2년을 다닌 학생으로 수료증을 받게 한다. 또한 학교 내의 모든 마스터클래스, 연주, 기숙사 등 많은 혜택도 누릴 수 있다.
교수진 : 정규 과정과 연주자 과정 모두 동일하다.
▲ 바이올린  Professeurs
Olivier CHARLIER (assistants : Guy Comentale, Johanna Matkowska - accompagnatrice : Maguelone Parigot)
Roland DAUGAREIL  (assistant : Serge Pataud - accompagnatrice : Stephanie Fontanarosa)
Ami FLAMMER (assistant : Frederic Laroque - accompagnatrice : Stephanie Fontanarosa)
Patrice FONTANAROSA (assistante : Suzanne Gessner - accompagnatrice : Stephanie Fontanarosa)
Boris GARLITZKY (assistant : Igor Volochine - accompagnatrice : Elena Garlitzky)
Sylvie GAZEAU (assistants : Jose Alvarez, Jean Pierre Sabouray - accompagnatrice : Isabelle Vigneau)
Michael HENTZ (assistant : Maurice Moulin - accompagnatrice : Yoko Kaneko)
Jean-Jacques KANTOROW (assistant : Marie Bereau - accompagnatrice : Haruko Ueda)
Regis PASQUIER (assistant : David Lefevre, Philippe Aiche - accompagnateur : Dominique Plancade)
▲ 비올라  Professeurs
Gerard CAUSSE (assistant : Pierre Lenert - accompagnateur : Dominique Plancade)
Bruno PASQUIER (assistante : Francoise Gneri - accompagnatrice : Haruko Ueda)
Jean SULEM (assistant : Raymond Glatard - accompagnateur : Dominique Plancade)
Sabine TOUTAIN (assistant : Christophe Gaugue - accompagnateur : Dominique Plancade)
Pierre-Henri XUEREB (assistante : Simone Feyrabend-Muller - accompagnatrice : Sophia Vaillant)
▲ 첼로   Professeurs
Jean-Marie GAMARD (assistants : Raphael Perraud, Thierry Amadi - accompagnateurs : Nathalie Dang, Romain Descharmes)
Philippe MULLER (assistants : Philippe Bary, Veronique Marin-Queyras - accompagnatrice : Marta Godeny)
Roland PIDOUX (assistant : Xavier Phillips - accompagnatrice : Isabelle Vigneau)
Michel STRAUSS (assistant : Guillaume Paoletti - accompagnatrice : Maria Belooussova)
▲ 피아노    Professeurs
Nicholas ANGELICH (assistant : Romano Pallottini)
Henri BARDA (assistante : Isabelle Dubuis)
Michel BEROFF (assistants : Eric Lesage, Denis Pascal)
Brigitte ENGERER (assistant : Emmanuel Mercier)
Jean-Francois HEISSER (assistant : Marie-Josephe Jude)
Theodor PARASKIVESCO (assistant : Laurent Cabasso)
Alain PLANES (assistant : Emmanuel Strosser)
Georges PLUDERMACHER (assistants : Claire Desert, Francois-Frederic Guy)
Bruno RIGUTTO (assistants : Herve Billaut, Claire Le Guay)
Jacques ROUVIER (assistante : Prisca Benoit)
▲ 플릇   Professeurs
Pierre-Yves ARTAUD (assistante : Florence Souchard-Delepine - accompagnateur : Fuminori Tanada)
Sophie CHERRIER (assistant : Vincent Lucas - accompagnateur : Fuminori Tanada
▲ 클라리넷    Professeurs
Michel ARRIGNON (assistant : Arnaud Leroy - accompagnateur : Nicolas Dessenne)
Pascal MORAGUES (assistant : Jean-Francois Verdier - accompagnateur : Nicolas Dessenne

이밖에 각 클래스에는 앞에서 말한 교수와 그 교수의 어시스턴트, 전속 반주자가 있다. 교수와 조교진들은 세계 유명 국제콩쿠르 수상, 유럽의 유명 오케스트라 악장 및 수석, 프랑스 국가고시에 통과한 사람들이다. 이 학교 실내악 교수로 바이올리스트 강혜선이 활약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 입학시험
정규과정은 매년 2, 3월에 있다. 신청은 프랑스에서는 미니텔로, 외국에서는 인터넷으로 가능하고 신청기간은 10, 11월에 있다. 우선 시험 절차는 4단계를 거치게 된다. 1차는 모든 기악 분야를 합쳐서 보는 시창·청음 시험이다. 이 시험에 통과해야만 실기시험을 볼 수 있다.
다음엔 1차 실기시험이 있다. 이 시험을 통과한 사람들이 2차 실기시험과 초견 시험을 보게 된다. 2차 시험과 초견 시험은 같은 날 이루어지고 결과는 시험이 끝나는 날 저녁 때 바로 알 수 있다. 학기는 9월에 시작한다.
나이제한 [주의 사항으론 나이 기준을 그해 10월 1일로 한다는 점이다]
만 22세 미만: violon, violoncelle, flute, hautbois, piano, harpe 
만 24세 미만: clarinette, saxophone 
만 26세 미만: accordeon, alto, contrebasse, basson-fagott, cor, trompette-cornet, trombone, saxhorn euphonium, tuba, percussion, guitare, orgue-interpretation
만 28세 미만: accompagnement au piano, improvisation au clavier (orgue/piano), ondes Martenot, trombone basse, improvisation   
[글 : 이상희/파리국립고등음악원 졸업생]
Conservatoire National Superieur de Musique et de Danse de Paris  / 209 avenue Jean Jaures 75019 Paris
tel 01 40 40 46 47 ou 46 46      fax 01 40 40 47 27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생활정보 : 고기(육류)의 부위별 불어 명칭

소고기(Boeuf) 1등급(Premier Catégorie) Culotte: 엉덩이고기,  Entrecôte: 등심 Faux-filet,Filet: 안심, Gîte: 허벅지고기 Rumsteak: 엉덩이고기 Tranche grasse et aiguillette: 허벅지고기 옆의 큰 덩어리고기와 가늘고 긴 덩어리고기 2등급(Deuxième Catégorie) Bavette: 갈비아래쪽의 얇고 넓은모양의 고기 Griffe: 목아래쪽살, Talon: 목 뒤쪽고기 Macreuse; Paleron밑의 지방질이 없는 살코기 Paleron: 어깨에 붙은 덩어리고기 3등급(Troisième Catégorie) Collier: 목고기, Crosse: 넓적다리 밑부분고기. Flanchet: 배 뒤쪽 살코기, Poitrine: 가슴고기. Gîte arrière: 뒷다리 허벅지아래부분 고기 Gîte avant: 앞다리 허벅지고기. Plat de côtes: 아래쪽갈비, Tendron: 배중간 살 양고기(Agneau) 1등급(Premier Catégorie) Carré couvert: 양갈비로 뒤쪽 8개의 갈비뼈. Filet: 안심,   Gîte: 넓적다리,   Selle: 허리고기 2등급(Deuxième Catégorie) Carré découvert : 어깨뒤쪽으로의 5개의 갈비 Epaule: 어깨살 3등급(Troisième Catégorie) Collier: 목고기,  Poitrine: 가슴고기 Haut de côtelettes: 갈비아래쪽 뼈 송아지고기(Veau) 1등급(Premier Catégorie) Cuisse, noix, sous-noix: 허벅지고기. Côtes premières; Côtes secondes뒤의 8개의갈비. Côtes secondes: 앞쪽의 5개의 갈비 Longe: 허리 위쪽의 갈비 Quasi et Culotte: 엉덩이고기 2등급(Deuxième Catégorie) Côte découver...

생활정보 : 알고 복용하자, 프랑스의 약들

타국에서 생활하다 보면 예기치도 않게 몸에 이상이 생길 때가 있다. 이럴 때 한국에서 잔뜩 싸 온 한국 약들을 복용해 보지만 기후, 환경의 영향으로 따로 증세가 호전되지 않을 때가 많다. 가장 현명한 방법은 동네 가까운 의사(Chez Medecin)에게 진찰을 받은 후 처방전을 받는 방법이다. 특히 한국과 다르게 프랑스에서는 병원 한번 가는데 약속 잡기도 쉽지 않아 불편함을 느낄 때가 많다. 이럴 때 프랑스에서도 병의 증세가 심각하지 않을 경우 병원에 가지 않고 직접 약국에서 약사와 상담 후 복용 할 수 있는 약들을 구입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무조건 약사가 권해주는 약을 모르고 복용하는 것 보다 본인이 직접 약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조언을 따르는 편이 조금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하여 프랑스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복용하는 대표적인 약들을 증상에 따라 소개하고자 한다. 󰁾 진통. 해열제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복용되는 진통(두통. 치통. 근육통 등) 해열제는 다음과 같다.   Paracetamol(파라세타몰)성분이 함유된 약들 :  프랑스에서 진통. 해열제로 가장 많이 팔리는 대표적인 진통. 해열제로는 파라세타몰 (paracetamol) 성분이 함유된 DOLIPRANE, EFFERLGAN, DAFALGAN을 들 수 있다. 두통이 심할 경우 의사의 진단서 없이 구매 가능하며 약을 복용 한 후에는 적어도 20~30분 정도 그늘진 곳에 누워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  이부프로펜(ibuprofene)성분이 함유된 약들  : Advil와  Nurofen이 있다. 이 약들의 최대 복용량은 200mg이고 아스피린과 동시에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이 두 약은 실제로 그 효과가 강력해서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하고 약의 복용이 잦을 경우 위. 장에 탈을 줄 수 있으므로 실제로 고통이 심하지 않을 경우는 복용을 자제해야한다. 특히 아스피린처럼 피를 액체화 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생리중인 여성의 경우 복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

학교.유학 : 파리 국립 음악원(CNSM)

Conservatoire National Superieur de la Musique de Paris      프랑스에는 전국에 500여 개나 되는 시, 도립 음악 학교(Conservatoire)가 있는데, 이 모든 학교가 프랑스 문화부 관할의 파리 국립 음악원을 지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준비 학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이 학교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특히 작곡과 피아노 부문은 미국의 줄리어드나 커티스보다 앞선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 학교는 프랑스 대혁명이 발발하여 어지럽던 시대인 1795년에 창설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의 명문이다. 현대에 와서는 줄리어드나 커티스가 많은 명성을 얻고 있으나 불과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이 학교들이 파리 국립 음악원을 본받아 운영을 했을 정도였다. 아직도 세계 음악계는 "그래도 역시 파리 국립 음악원"이라는 관념을 갖고 있다.  *입학 시험 : 보통 10:1 내지 15:1의 경쟁률을 보인다.  매년 프랑스 전국의 시, 도립 콩세르바투아르에서 수학을 한 수천 명의 학생들 및 외국인들이 파리의 콩세르바투아르에 들어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외국인 학생들의 TO는 정해져 있으므로 결국 외국인끼리의 경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 테스트는 없고 모두 실기 테스트이며, 4주 내지 5주간의 간격을 두고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다.  파리 국립 음악원의 입학은 나이 제한 조건이 까다로워 이에 해당하는 후보자만 입학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데 각 학과에 따라 시험 절차 및 제한 연령이 다르다. 시험 프로그램은 게시판이나 우편을 통해 6월부터 후보자들에게 통보되어 매년 9월부터 치르게 된다.  심사 위원은 파리 콩세르바투아르의 교수들로 구성되어 비공개리에 시험이 진행된다. 심사 위원단은 홀수로 구성되어 심사 후에 투표를 하여 학생의 입학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몇몇 투표자의 기권으로 인해 동수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심사 위원장이 재투표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