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생활정보 : 물, 알고 마셔요! 물에 대한 상식들

미국의 저명한 물 연구가 F.뱃맨겔리지 박사에 따르면, 사람의 거의 모든 질병은 몸의 수분이 부족해서 발생하며, 실제 죽음 가까이에 서 있는 노인들의 수분 함량은 젊은 사람보다 상당히 낮다. 예를 들면 60대 이상의 남녀는 체중의 50%와 45%가 물이지만, 17~39세 남녀는 60%와 50%가 물로 되어 있다(양으로 치면 약 42ℓ). 신생아 남녀는 그보다 더 높아서 체중의 80%와 75%가 물이다.
수분이 부족하면 피로하거나 초조하게 된다. 짜증, 이유 없는 분노, 나른함, 우울한 기분, 불면증, 머리가 무거운 느낌, 두려움도 생긴다.


물이 하는 ‘7가지 역할’ 색깔도 없고 특별한 맛도 없지만, 물이 인체에서 하는 일은 기적에 가깝다. 전문가들은 물의 역할을 크게 예닐곱 가지로 나눈다.
물은 인체의 수송 시스템으로 여러 영양분과 호르몬·효소·산소 같은 물질을 세포로 전한다. 물은 또 ‘분비액’이 되어 체내의 대사 과정을 돕고 독소를 배출한다.  윤활 작용과 소화 작용도 중요한 임무 가운데 하나이다. 물은 이들 장기 사이에 스며들어 장기와 장기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움직임을 쉽게하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물은 인간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물 어떻게 마시나?
전문가들이 권하는 물 마시는 법은 다음과 같다.△간밤의 탈수를 보충하기 위해서 이른 아침에 두세 잔을 마신다 △식사 30분 전에 마신다. 위염이나 흉통, 위궤양, 대장염, 가스가 차는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에게 특히 유용하다 △식후 2시간 30분 뒤에 마신다. 소화 공정에 소비된 만큼 보충해주어야 한다 △잠자기 30분 전에 한 잔 정도 마신다.△물은 조금씩 자주 마신다. 급하게 마시면 위장과 신장, 간에 부담을 준다.



프랑스의 생수들
프랑스의 수돗물은 정수 처리가 되어 있어 식용수로 문제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먹는 생수를 먹고 있다. 수퍼에서 사먹는 생수에는 미네랄 성분이 들어가 있는데, 그렇다고 이 물만 마시는 게 모두 좋은 건 아니다. 소량은 괜찮아도 허용한계량 이상 섭취하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광물질도 많기 때문에 같은 상표의 생수를 계속 마시지 말고 계속 바꿔가면서 마셔야한다는 권고도 프랑스 상원에서 나올 정도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생수를 소개한다.


에비앙
에비앙은 프랑스 파리에서 서남쪽으로 520km 떨어진 인구 7500여명의 조그만 휴양도시이다. 에비앙 앞에는 레만호가 있는데 둘레가 195km, 최대 수심이 310m에 이르는 거대한 호수다.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것은 생수 ‘에비앙’ 덕이 크다. 에비앙 생수는 만년설이 녹아내린 물인데 두꺼운 빙하퇴적층을 통과하면서 풍부한 미네랄 등 인체에 유익한 각종 성분을 함유하여 세계적으로 선호도가 높아 150여개국에 진출해 있다.

볼빅
실온에서 마시면 약간 밋밋한 에비앙에 비해 볼빅의 물맛은 시원해서 한국의 물맛을 연상시킨다. 에비앙과 함께 다농사의 대표적인 생수이기도 하다. 볼빅은 프랑스 오베른 지역의 휴화산에 위치한 청정계곡 볼빅의 화산탄에 의해 걸러진 생수이다.

콩트렉스
프랑스 네슬레에서 나온 미네랄 생수. 칼슘과 마그네슘이 다량 포함돼 있어 체중 감량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일본 여성들에게까지 선풍적 인기를 끈 바 있다. 프랑스 생수 시장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페리에  
프랑스의 대표적인 가스물.  피레네 산맥의 화산 활동에 의한 큰 지각변동이 일어났을 당시 생긴 균열이, 천연 가스를 포함하는 지층과 지하수의 층을 우연히 결합시켜, 천연의 발포 물을 만들어 냈다. 가스가 산뜻한 자극을 주는 페리에는, 칼슘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한위클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생활정보 : 고기(육류)의 부위별 불어 명칭

소고기(Boeuf) 1등급(Premier Catégorie) Culotte: 엉덩이고기,  Entrecôte: 등심 Faux-filet,Filet: 안심, Gîte: 허벅지고기 Rumsteak: 엉덩이고기 Tranche grasse et aiguillette: 허벅지고기 옆의 큰 덩어리고기와 가늘고 긴 덩어리고기 2등급(Deuxième Catégorie) Bavette: 갈비아래쪽의 얇고 넓은모양의 고기 Griffe: 목아래쪽살, Talon: 목 뒤쪽고기 Macreuse; Paleron밑의 지방질이 없는 살코기 Paleron: 어깨에 붙은 덩어리고기 3등급(Troisième Catégorie) Collier: 목고기, Crosse: 넓적다리 밑부분고기. Flanchet: 배 뒤쪽 살코기, Poitrine: 가슴고기. Gîte arrière: 뒷다리 허벅지아래부분 고기 Gîte avant: 앞다리 허벅지고기. Plat de côtes: 아래쪽갈비, Tendron: 배중간 살 양고기(Agneau) 1등급(Premier Catégorie) Carré couvert: 양갈비로 뒤쪽 8개의 갈비뼈. Filet: 안심,   Gîte: 넓적다리,   Selle: 허리고기 2등급(Deuxième Catégorie) Carré découvert : 어깨뒤쪽으로의 5개의 갈비 Epaule: 어깨살 3등급(Troisième Catégorie) Collier: 목고기,  Poitrine: 가슴고기 Haut de côtelettes: 갈비아래쪽 뼈 송아지고기(Veau) 1등급(Premier Catégorie) Cuisse, noix, sous-noix: 허벅지고기. Côtes premières; Côtes secondes뒤의 8개의갈비. Côtes secondes: 앞쪽의 5개의 갈비 Longe: 허리 위쪽의 갈비 Quasi et Culotte: 엉덩이고기 2등급(Deuxième Catégorie) Côte découver...

생활정보 : 알고 복용하자, 프랑스의 약들

타국에서 생활하다 보면 예기치도 않게 몸에 이상이 생길 때가 있다. 이럴 때 한국에서 잔뜩 싸 온 한국 약들을 복용해 보지만 기후, 환경의 영향으로 따로 증세가 호전되지 않을 때가 많다. 가장 현명한 방법은 동네 가까운 의사(Chez Medecin)에게 진찰을 받은 후 처방전을 받는 방법이다. 특히 한국과 다르게 프랑스에서는 병원 한번 가는데 약속 잡기도 쉽지 않아 불편함을 느낄 때가 많다. 이럴 때 프랑스에서도 병의 증세가 심각하지 않을 경우 병원에 가지 않고 직접 약국에서 약사와 상담 후 복용 할 수 있는 약들을 구입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무조건 약사가 권해주는 약을 모르고 복용하는 것 보다 본인이 직접 약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조언을 따르는 편이 조금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하여 프랑스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복용하는 대표적인 약들을 증상에 따라 소개하고자 한다. 󰁾 진통. 해열제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복용되는 진통(두통. 치통. 근육통 등) 해열제는 다음과 같다.   Paracetamol(파라세타몰)성분이 함유된 약들 :  프랑스에서 진통. 해열제로 가장 많이 팔리는 대표적인 진통. 해열제로는 파라세타몰 (paracetamol) 성분이 함유된 DOLIPRANE, EFFERLGAN, DAFALGAN을 들 수 있다. 두통이 심할 경우 의사의 진단서 없이 구매 가능하며 약을 복용 한 후에는 적어도 20~30분 정도 그늘진 곳에 누워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  이부프로펜(ibuprofene)성분이 함유된 약들  : Advil와  Nurofen이 있다. 이 약들의 최대 복용량은 200mg이고 아스피린과 동시에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이 두 약은 실제로 그 효과가 강력해서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하고 약의 복용이 잦을 경우 위. 장에 탈을 줄 수 있으므로 실제로 고통이 심하지 않을 경우는 복용을 자제해야한다. 특히 아스피린처럼 피를 액체화 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생리중인 여성의 경우 복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

학교.유학 : 파리 국립 음악원(CNSM)

Conservatoire National Superieur de la Musique de Paris      프랑스에는 전국에 500여 개나 되는 시, 도립 음악 학교(Conservatoire)가 있는데, 이 모든 학교가 프랑스 문화부 관할의 파리 국립 음악원을 지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준비 학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이 학교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특히 작곡과 피아노 부문은 미국의 줄리어드나 커티스보다 앞선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 학교는 프랑스 대혁명이 발발하여 어지럽던 시대인 1795년에 창설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의 명문이다. 현대에 와서는 줄리어드나 커티스가 많은 명성을 얻고 있으나 불과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이 학교들이 파리 국립 음악원을 본받아 운영을 했을 정도였다. 아직도 세계 음악계는 "그래도 역시 파리 국립 음악원"이라는 관념을 갖고 있다.  *입학 시험 : 보통 10:1 내지 15:1의 경쟁률을 보인다.  매년 프랑스 전국의 시, 도립 콩세르바투아르에서 수학을 한 수천 명의 학생들 및 외국인들이 파리의 콩세르바투아르에 들어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외국인 학생들의 TO는 정해져 있으므로 결국 외국인끼리의 경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 테스트는 없고 모두 실기 테스트이며, 4주 내지 5주간의 간격을 두고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다.  파리 국립 음악원의 입학은 나이 제한 조건이 까다로워 이에 해당하는 후보자만 입학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데 각 학과에 따라 시험 절차 및 제한 연령이 다르다. 시험 프로그램은 게시판이나 우편을 통해 6월부터 후보자들에게 통보되어 매년 9월부터 치르게 된다.  심사 위원은 파리 콩세르바투아르의 교수들로 구성되어 비공개리에 시험이 진행된다. 심사 위원단은 홀수로 구성되어 심사 후에 투표를 하여 학생의 입학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몇몇 투표자의 기권으로 인해 동수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심사 위원장이 재투표를 주...